본문 바로가기
유용한 생활정보

🌙 야간근무 시 최저임금, 정확히 얼마 받을 수 있을까? (오후 9시~오전 3시 기준)

by 쥑셈지기 2025. 11. 9.


야간근무를 하면 피로도는 물론이고 생활 리듬도 깨지기 쉽습니다. 그래서 법적으로는 야간근무에 대해 추가 수당을 지급하도록 정해져 있는데요. 하지만 실제로는 “야간근무하면 얼마 더 받아야 하지?”라는 질문에 정확히 답할 수 있는 분은 많지 않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5년 최저임금 기준으로 오후 9시부터 오전 3시까지 근무했을 때 실제 받아야 할 금액을 구체적으로 계산해보겠습니다.


✅ 야간근로의 정의

  • 야간근로 시간대오후 10시부터 다음날 오전 6시까지입니다.
  • 이 시간대에 근무한 시간은 야간근로수당을 추가로 지급받아야 합니다.
  • 근로기준법 제56조에 따라, 야간근로에 대해서는 통상임금의 50%를 가산하여 지급해야 합니다.

즉, 단순히 시간당 최저임금만 받는 것이 아니라, 야간수당이 포함된 금액을 받아야 정당한 보상을 받는 것입니다. 출처: 사랑이의 일상 블로그


 

✅ 야간근로의 정의

  • 2025년 최저임금은 시간당 10,030원입니다.
  • 야간근로수당은 이 금액의 50%인 5,015원이 추가됩니다.
  • 따라서 야간근무 1시간당 임금은 → 10,030원 + 5,015원 = 15,045원

이 수치는 노동부 고시 기준이며, 모든 사업장에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출처: 노동OK 최저임금 계산기

야간근무(이미지 출처 : 뤼튼 생성 이미지)


🕒 오후 9시 ~ 오전 3시 근무 시 임금 계산

이제 실제 상황을 가정해볼게요.
근무 시간: 오후 9시 ~ 오전 3시 (총 6시간)

근무 시간대 적용 기준 시간 시간당 임금 합계
오후 9시 ~ 10시 일반근로 1시간 10,030원 10,030원
오후 10시 ~ 오전 3시 야간근로 5시간 15,045원 75,225원
총 합계 85,255원

단순히 10,030원 × 6시간 = 60,180원으로 계산하면 25,000원 가까이 손해를 보게 됩니다. 출처: 법률가이드 블로그


📌 꼭 알아야 할 포인트

  • 야간근로수당은 모든 근로자에게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 아르바이트, 단시간근로자, 일용직 포함!
  • 사업주가 이를 지급하지 않으면 근로기준법 위반으로 과태료 또는 형사처벌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 연장근로(하루 8시간 초과)휴일근로가 겹칠 경우, 추가 수당이 더 붙습니다.

출처: 사랑이의 일상 블로그


✨ 마무리하며

야간근무는 단순히 밤에 일하는 것이 아니라, 법적으로 더 많은 보상을 받아야 하는 근로 형태입니다.
자신의 권리를 정확히 알고, 정당한 임금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혹시 연장근로수당이나 휴일근로수당 계산도 궁금하신가요? 댓글로 남겨주시면 다음 글에서 자세히 다뤄드릴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