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세금이야기

[세금]국세·관세 동시 체납자 698명, 체납액 '1조원' 돌파…그들은 왜 세금을 내지 않았을까?

by 쥑셈지기 2025. 10. 27.

국세, 관세 체납(이미지 출처 : 코파일럿 생성 이미지)


🧠 체납자 698명, 체납액 1조원

최근 국세청과 관세청 발표 자료에 따르면, 국세와 관세를 동시에 체납한 납세자가 무려 698명에 달하며, 이들의 총 체납액이 1조135억 원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단순히 세금을 못 낸 수준이 아니라, 고의적이고 반복적인 체납이 의심되는 사례도 다수 포함돼 있어 사회적 파장이 예상됩니다.

이번 발표는 단순한 통계 이상의 의미를 지닙니다. 국세와 관세는 각각 내국세와 수입세로 성격이 다르며, 이를 동시에 체납했다는 것은 개인이나 기업의 재정 상태뿐 아니라, 세금 회피 전략까지 엿볼 수 있는 중요한 단서가 되기 때문입니다.


구분 인원 체납액 주요 특징
개인 320명 약 5,343억 원 관세 중심, 수입업자 다수
법인 378개 약 3,188억 원 국세 중심, 부가세·법인세 체납
총합 698명 1조135억 원 국세+관세 동시 체납

🧾 고위상습체납자 명단 공개

  • 국세청 공개 명단: 48,035명
  • 관세청 공개 명단: 209명
  • 양쪽 모두에 등재된 고위상습체납자: 13명 (법인 7개, 개인 6명)
  • 총 체납액: 445억6천만 원

이들은 수년간 반복적으로 세금을 내지 않았으며, 일부는 재산 은닉, 위장 폐업, 명의 변경 등을 통해 징수를 회피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특히 법인 체납자의 경우, 대표자가 명의를 바꿔 새로운 회사를 설립하고 동일한 방식으로 세금을 회피하는 사례도 적지 않습니다.


🏛 정부의 대응은?

국세청과 관세청은 각각 체납관리단을 신설해 실태조사와 징수에 나서고 있으며, 협업을 통해 행정 중복을 줄이고 징수 효율을 높이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습니다.

조승래 의원은 “국세청과 관세청이 협업해 체납자 관리의 효율성을 높여야 한다”며, “공통체납자에 대한 정보 공유와 공동 대응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정부 대응책 요약

  • 재산 추적 강화: 금융·부동산·차량 등 자산 실시간 추적
  • 출국금지 조치: 일정 금액 이상 체납자에 대해 출국 제한
  • 명단 공개 확대: 실명·체납액·업종 등 공개
  • 징수 전문 인력 확충: 현장 조사 및 압류 활동 강화

세금징수(이미지 출처 : 픽사베이)


🧠 왜 체납은 반복되는가?

체납은 단순한 미납이 아닙니다. 반복적이고 고의적인 체납은 국가 재정에 큰 부담을 주며, 성실한 납세자에게 불공정한 환경을 만들 수 있습니다. 특히 다음과 같은 요인이 체납을 반복시키는 원인으로 지목됩니다:

  • 세금 회피를 위한 고의적 전략
  • 징수 시스템의 한계
  • 사회적 인식 부족

🔍 우리가 주목해야 할 점

이번 발표는 단순한 숫자 이상의 의미를 지닙니다. 국세와 관세를 동시에 체납한 납세자들은 단순한 실수나 일시적 자금난이 아닌, 구조적 문제와 고의적 회피 가능성이 높습니다. 정부의 대응도 중요하지만, 사회 전체의 납세 윤리와 감시 기능이 함께 강화되어야 합니다.

성실한 납세는 사회적 책임입니다. 세금은 복지, 교육, 안전 등 우리 삶의 기반을 이루는 중요한 재원입니다. 체납자에 대한 강력한 대응과 함께, 납세 문화의 개선이 필요한 시점입니다.